분류 전체보기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40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2. 9. 02:05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40 352. 심리적으로 볼 때 색깔은 영화에서 잠재적 요소가 되는 경향이 있다. 색조는 의식적, 지적이라기보다는 그 호소력에 있어서 정서적인 면이 강하며, 표출성 및 분위기와 관련된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구도 안의 선들은 능동적으로 해석하려 하지만 반대로 피사체 자체보다 그 분위기를 나타내는 색조들은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선;명사와 대응, 남성적인 것으로 간주 색조;형용사와 대응, 여성적인 것으로 간주, 상징적인 목적으로 사용 차가운 색(파랑, 초록, 보라);정적, 고립, 평정을 암시 따뜻한 색(붉은색, 노랑, 오렌지);공격성, 폭력성, 자극 353. 망원렌즈;상징, 인과관계(이동초점, 선택초점..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9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2. 6. 02:15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9 350. *씬 만들기 씬의 목적은 스토리의 내용을 전개시키는 것이다. 시나리오는 반드시 이야기를 전하는데 알맞은 수의 씬을 사용해야 한다. 훌륭한 씬은 훌륭한 영화를 만든다. 되도록 한 씬이 3분 넘지 않게하라. 대사도 3분 넘지 않게 하라. 모든 대사에는 다 이유와 정당성이 있다. 스토리 문맥상 모든 씬은 관객들에게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보를 주어야 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씬의 목적이다. 그것이 단지 씬을 연결하는 기능일지라도,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는 정보를 주는 것이다. 씬의 후반부에서 뚜렷한 행동(액션)이 끝나자마자 당장 빠져 나와라. 시나리오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 다음, 그 동안 어디에서 무엇을 하다 왔는지 이 씬이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8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2. 1. 15:3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8 344.당신들이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겠다. 스크린에서 그것이 어떻게 비쳐지는지가 내 관심사일 뿐이다. 영화의 프레임 속에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감독은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세트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에 어느 정도의 비현실성을 허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같이 프레임 안에 잡으려면 카메라를 멀리 옮기지 말고 소품을 인물에게로 옮겨 맞춰라. 세트에서 보는 것과 그것을 카메라로 담아 스크린에 보았을 때, 둘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보는 것은 정말 터무니 없는 생각이다. 스크린에 이미지를 배치하는 것은 결코 실제적인 방식으로 되지 않는다. 우리는 폭력을 표현하기 위해 단지 폭력 그 자체를 사진 찍는 것이 아니다. 폭..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7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28. 00:1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7 343.*극작술 모든 것은 테크닉보다는 정서 emotion 에 의해 결정된다. 드라마의 어원;그리스어로 드란 dran=action을 의미 actor는 행위를 수행하는 사람 고통을 의미하는 애거니 agony는 그리스어 아곤 agon을 어원으로 하는 경쟁 contest 이라는 뜻 따라서 극본은 경쟁에 휘말린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극적인 이야기는 곧 액션이다. 액션은 문제를 극복하거나 시도하다가 실패하는 과정을 말한다. 극적인 이야기는 주인공이 그의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일어나는 일련의 행위이고, 일이며, 사건이다. 말이 아니라 행동인 것이다. 극적인 행위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plot;구성의 방법 동일시;identification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6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24. 01:36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6 340.*촬영 촬영은 리허설의 연장이다. 부담감이 없이, 탐색적이어야 하고, 자유로워야 한다. 즐거움을 만끽하고 모험의 순간이어야 한다. 최고의 에너지와 집중력을 쏟아야 하고, 신선하고, 단순하고, 정직하고, 감정적으로 살아있고, 생생하게 순간을 체험하는 연기를 해야 한다. 그리고 창의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1.매 테이크를 찍기 전과 찍고 난 후에 각각의 배우에게 무엇인가를 말하라. 감독의 관심이 배우에게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리허설 75%. 촬영장 25% 감정을 떠올리는데 방해되는 적 가운데 하나는 반복이다. 애써 심오한 말을 하지 마라. 하지만 어떤 식으로든 아무 말, 혹은 행동을 하여(안되면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5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21. 01:5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5 337.*시나리오 분석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리는 세계를 머리에서 끄집어 내어 생명을 불어 넣어야 한다. 시나리오 상의 글자들, 즉 대사와 지문은 행위와 감정의 밑에 깔린 방대한 심층세계에 대한 단서이다. 그 심층세계를 제공하는 일은 감독과 배우의 의무이자 특권이다. 시나리오 분석의 목적은 등장인물들이 어떤 사람이고, 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 이해와 통찰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면 배우에게 전달하면 된다. 시나리오 속의 인물들을 상투적인 인물, 고정관념적인 인물, 꼭두각시, 영화의 부속품, 혹은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극적 수단이 아니라..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4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18. 03:13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4 331.*순간몰입 배우에게 자극주고 영감줄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연기한다는 표시 안나게 연기하도록 지도하는 방법. 편안하게 해 주고, 창의력 솟아날 수 있는 긴장이완 상태로 배우 이끄는 방법 알아야 한다. 1.두려움과 억제 대스타일수록 두려움은 커진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지켜본다는 자의심에 빠지면 안 된다. 강렬한 집중대상이 없을 경우 배우의 관심은 자기자신의 불안(자의식)으로 향하게 된다. 배우는 자신에게 격려해 주는 짧은 말을 끊임없이 갈구한다. 2.모험 등장인물에 생명을 불어 넣으려면 모험, 실수, 우연한 떠올림, 특이한 말투, 놀라움, 위험 등이 필요하다. 연기에 모험이 따를 때 드라마는 더욱 감동적이고 코미디는 더욱 돌발..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3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14. 00:21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3 321.영화분석 분석행위 자체이며 그 행위의 결과를 의미한다. 즉 그 구성요소들을 분해(해체)하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이들 분리된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공모하는지를 알아내 하나의 전체적인 시니피앙을 솟아나게 하는 것, 즉 재구성하는 일이다. 유의점 1.영화분석은 영화 자체와는 어느정도 거리를 두게된다. 2.전혀 다른 영화로 만들어 버리지 않기 위해 그 영화 밖으로 나가려는 유혹에 넘어가서는 안된다. 3.제멋대로 상상하지 마라. 4.자신의 잘못된 가정에 빠져 끝까지 옹호하지 마라 5.할 말이 없다거나 개인적인 가설이 두려워 이미 평한 글을 인용하는 것 6.영화 형식들과 기능들을 혼동하지 말 것 7.예언..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2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7. 02:06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2 311.①.고전주의;과장적인 의미 표현과 명확한 의미를 특징으로 하며 모호한 의미를 배제, 은유, 상징, 극적의미, 강조, 약호, 기호화, 격식주의 ②.바로크 다양한 의미 표현을 특징으로 하며 명확하면서도 모호한 의미를 팽창시킨다. 약호 넘어서고 위반하고 초월한다. 조명언어의 다양화 복잡화 풍부함, 유연함 가능한 조명의 모든 형식과 모든 상태를 탐색 방식과 재료의 증식이 바로크 영화를 특징 짓는다. 색의 화려함 존중 ③.모더니즘;과소한 의미 표현을 특징으로, 모호한 의미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명확한 의미를 배제 모더니즘 영화는 외연적인, 표면적인, 제시적인 영화이자, 내포적이지 않고, 은유적이지 않고, 재현적이지 않은 영화이다. 있..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1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1. 3. 01:52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1 301.시점(시청각) 1.시각적인 의미에서의 시점 2.서사작 의미에서의 시점;누가, 누구의... 3.이데올로기적 의미에서의 시점(작가의 시점, 견해, 시선);시점과 방법(식)까지 302.영화분석 1.의미론적 해석/비판적 해석 2.해석/응용 3.텍스트/작가/독자 4.맑스주의적 5.이데올로기적(개념, 관념) 303.*시각화는 두가지 유형 1.즉시성 immediacy-shot 배열 2.숙고 reflection-스토리보드, 리허설 *시각화는 어떤 실체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손으로 그린 그림을 포함해야만 한다. 카메라 앞에 놓이기 전에 관념들을 가시화하는 것이 필요 *시각화 다음→각본에 없는 여러 가지 시각적인 결정 *시각화는 촬영을 시작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