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50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22. 00:56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50 397. 소설작법 작가들이 스스로에게 하는 질문;이 단어가 내가 찾을 수 있는 최선인가? 의미가 분명한가? 이 문장에서 본질적인 것을 희생하지 않고 한 단어나 구절을 잘라낼 수 있는가? 이 문장은 문법에 맞는가?(문법의 논리에 숙달하면 사고의 논리에도 숙달하게 된다.) 정확한 단어를 써서 문장이 어색하고 투박해지느니, 야간 틀린 단어를 쓰더라도 더 음악적인 문장을 만드는 것이 낫다. 가능한 한 자신이 쓴 작품을 큰 소리로 읽어봐라. 읽을 때마다 더듬거리는 문장이 있다면 그 문장은 더 매끄럽고 유창하게 다듬어야 한다. 그것은 작품의 질을 높여준다. 리듬이 내용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내용을 초월하여 감동을 준다. 문장은 마치 음악처럼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9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18. 00:23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9 393. 인류 전체가 단 하나의 종, 즉 호모사피엔스에 속한다. 인종 혼합이 생물학으로 보아 나쁜 결과를 불러일으킨다는 증거는 없다. 인격이나 성격은 인종의 구분이 없다. 인간의 모든 집단 안에서는 다양한 타입이 발견된다. 그리고 이러한 성격을 특정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아무런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인종과 기질은 연관이 없다. 모든 종류의 기질이 모든 인종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 인간의 본성은 비슷하다. 그들을 구분짖는 것은 버릇이다. 머리나 두뇌 크기와 지능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다. 왼쪽 얼굴이 더 잘 생겼다. 여성의 눈 주위의 검은 색은 강함을 나타낸다. 표정의 변화가 적을수록 여성스러워 보인다...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8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14. 01:10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8 392. 현대예술은 작품의 빈곤과 철학의 과잉으로서, 예술이 해석 의존적으로 변했다. 그것은 현대예술의 조건이다. 현대예술은 숭고와 시뮬라크르라는 서로 대립하며 보족하는 두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 벤야민의 기술복제, 하이데거의 존재사상, 아도르노의 미학, 데리다의 해체, 들뢰즈의 되기, 푸코의 마그리트론, 리오타르의 숭고,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숭고의 무거움과(현전, 예지계, 실재론, 의식 철학, 신비주의) 그것을 파괴하는 시뮬라크르(해체, 현상계, 관념론, 언어철학, 회의주의)의 가벼움은 현대인의 세계감정이 가진 야누스의 얼굴이다. 언어는 도구다. 말함 속에서 사물은 창조되고 또한 인식된다. 목소리가 없는 사물은 인간의 언어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7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11. 02:08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7 391. 모든 예술에는 그 과정이 창작이다. 시(영혼의 현상학)의 주된 기능은 우리들을 변화(존재의 전환, 생성, 창조)시키는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특별히 인간적인 일체의 것은 로고스(말)이다. 언어에 앞서 있는 영역에서라면 우리들은 사유할 수 없을 것이다. 고전주의(보편성)→사실주의, 낭만주의(상대성, 독창성, 개아성, 특이성, 상징성, 내재성)→이미지→구조주의→탈 구조주의 훌륭한 작품들은 내재적으로 잘 짜여진 가치와 보편적인 가치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고전주의에서 아름다움이란 내용(자연, 진리)에 완벽하게 일치하는 형식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인 문학관이 극단화되어 내재적인 문학관이 되면, 작품의 진리성은 더 이상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6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8. 01:44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6 386. 인터넷을 통제하기 무척 어려운 이유는 그것이 탈중심화된 테크놀로지이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세계적 접근성을 지니게 되었고, 진정으로 국제적인 미디어가 된 것이다. 비평;1.작품의 특성에 관한 기술 2.작품의 미적 가치에 대한 평가 3.비평문 자체도 문학적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문학적 장르) 평론가 역시 에세이를 생산한다. 이 에세이들은 대상에서 자립하여 즉 작품에 대한 미적 평가를 넘어, 예술에 관한 미학적 성찰과 세계에 관한 철학적 사유로 비약함으로써 그 자체가 문학이 된 새로운 비평을 해야한다. 비평;1.관학적 비평(academic 랑소니즘 Lansonism)-①.객관성 ②.좋은 취향 ③.언어의 명료성-주관적 감상이 아..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5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5. 01:10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5 382. 시는 현실을 품고 부화시키는 하나의 가능 세계의 표현이다. 즉 농익은 경험의 다양체들이 상징과 이미지라는 의사소통의 기호들로 함축되고, 사유와 상상들은 감각의 등고선으로 태어난다. 가장 좋은 시는 현존이 욕망하는 직관 의지도, 이미지의 지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시인의 지도는 한번도 살아보지 못한 극작의 지도, 없는 곳에 대한 지도다. 시는 정서의 표현이 아니라, 그것의 배반이며 해체다. 언어 이전의 것이다. 즉 시는 언어를 쓰되, 언어를 넘어선다. 시는 언어가 아니라 이미지, 리듬, 비전 속에 그 몸을 드러낸다. 언어와 언어 사이의 여백과 침묵에 의미를 부여하고, 압축파일을 지향하고, 언어에서 자유로워야 하고, 진술이 아니라..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4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3. 2. 00:3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4 377. 민중은 대변자를 필요로 한다. 동시에 예술가는 그가 대변하는 사람들의 아우성과 희망을 필요로 한다. 위대한 누드 작품은 모두 어떤 삶의 방식을 뜻한다. 그것은 하나의 특별한 철학적 관점으로 이끈다. 입체주의가 획득한 권리인, 인체의 부분을 해체할 수 있는 화가의 권리는 성 경험에 상응하는 시각 이미지를 창조하는데 필수적이었다. 성공한(실패)다는 것은 사회에 동화(배척) 된다는 것이다. 국내의 민중들 대부분은 그들 자신의 체제가 갖는 모순, 즉 모든 발전이 반드시 초래하는 모순을 보지 못한다. 이는 마취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의 기본적인 목적은 그곳에 있지 않은 존재를 불러내는 것이다. 시각은 반사 작용만이 아니라, 상..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3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2. 23. 02:2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3 372. 대상이란 스스로 보여주기 위해 화가들에게 다가오는 어떤 것 인상주의;보여지는 대상들이 끊임없이 움직임으로써 포착하기 어려운 것 입체주의;대상은 더 이상 하나의 눈(시선)에 의해 드러나지 않는 것. 대상이 가진 모든 측면으로부터 드러나는 시선의 총체 본래 회화는 부착된 건물의 일부로 인식, 건물에서 일어나는 일의 기록이며, 건물이 가진 독특성을 기억시켜 주는 역할. 즉 그림이 가진 독특성은 그것이 걸려있는 공간이 가진 독특성의 일부분이었다. 또한 두 장소에서 동시에 보여질 수 없었다. 그러나 카메라의(사진기) 발명은 보는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그림을 재현(복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림의 이미지가 가진 고유성은 사라..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론 42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2. 18. 02:33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론 42 367. 역사가 과거와 현재의 대화 역사를 과거의 사건과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미래의 목적과의 대화 역사를 의식하는 행위는 역사 그 자체가 지니는 맹목적인 사실을 믿는 행위와는 다르다. 그것은 역사가 드러내는 다양한 상황을 상상하는 행위이며, 역사가 주는 반성을 공감하는 행위이다. 또한 역사라는 개별적 실체를 보편적 진리로 변화 시켜 읽어내고 있는 인간을 이해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역사를 의식하는 행위는, 역사의 흐름을 믿고 역사의 흐름 속에 녹아있는 진리를 믿으며 역사의 흐름 속에서 진리를 찾는 인간의 행위가 무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믿는 행위이다. 이 믿음이 역사의식, 즉 역사의지이다. 예술가는 작품의 향유자들을 고유한 개체로 바라보..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41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1. 2. 11. 01:3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41 366.* 영화만이 갖고 있는 특징 1.지각은 하나의 활동이다. 정신은 결코 쉬지 않는다. 정신은 습관적인 유형에 멈추지 않도록 세계를 시험해보며 질서와 의미를 끊임없이 추구한다. 예술작품은 이처럼 인간정신의 역동적이고 통일된 성질에 의존한다. 관객이 시간과 관계된다면 영화는 사건의 형태로 시간을 새기는 기계이다. 이것은 다른 모든 예술에 비해 영화가 가진 우월한 입장이다. 이처럼 다른 예술이 시간과 간접적으로 접근하지만, 영화는 직접적으로 진정한 시간, 삶의 시간과 관계한다. 영화를 통해 사건을 포착하고, 결정하고, 재현하는 것, 시간이 인간적 정신현상의 본질적 차원이고 영화 이미지의 본질적 구성 요소라면, 영화예술은 시간을 다루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