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11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10. 5. 18:15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11 101. 중요한 것은 소재의 처리지 소재 그 자체는 아니다. 각 쇼트의 진정한 내용은 바로 그것은 형식이다. 서사적 영화는 사건을 강조하나 심리적 영화는 사건의 의미를 강조한다. 무엇을 강조하느냐의 문제지 무엇을 배제하느냐의 문제는 아니다. 102. 처음부터 끝까지 예술 작품의 미적 체험은 기대감으로 가득 차 있다. 서스펜스는 단지 설정된 기대감의 충족을 지연 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놀라움은 기대했던 것이 다르게 나타날 때 생긴다. 호기심은 이전의 사건들에 대하여 관객의 무엇인 가를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우리의 감정을 이끄는 것은 형식의 역동적 진행 과정이다. 기대감은 감정을 고무 시킨다. 기대감을 갖는 것은 그 상황에 감..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10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10. 2. 14:17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10 91. 중심 인물은 반응 쇼트의 전경에 나타날 수가 없는데 이유는 이 반응 쇼트는 중심 인물이 본 자기의 주관적 시점이기 때문이다. 중심 인물이 적대자의 시점으로 보여 져서는 안 된다. 이 기법은 대화가 우위를 차지하는 드라마틱한 장면에서도 감정을 고양 시킬 때 응용할 수 있다. 즉 중심 인물이 다른 인물과 대화하면서 다른 일에 주의를 집중하고 있으며 이것을 주관적인 시점으로 강조하는 방법이다. 또한 대사 속에 함축되어 있지 않은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중심 인물이 이동한다면 감정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 인물이 다른 지점으로 이동해야 한다면 커트 백 하면 안 된다. 그 장면의 분위기를 파괴 시킬 우려가 있다..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9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27. 22:59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공개)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9 81. 화면 내의 이동 장면 요약 : 한 동작을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 쇼트로 연결되는 동작은 그 동작 중에 커트한다. 커트 연결 때 이동하는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 거리의 변화가 필요하다. 동작에는 두 가지 기본형이 있다. 한 지점에서 일어나는 동작과 진로를 따라가는 이동이다. 한 지점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분할해서 잡을 때는 삼각형 카메라 배치법의 세가지 방법(리버스 쇼트, 직각 앵글, 공통시각 축)을 사용하며, 진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잡을 때는 5가지 전부를 사용한다. 위의 모든 공식은 역순이 가능하다. 즉 쇼트 1-2가 쇼트 2-1로. 동작의 각 부분을 촬영할 때는 화면을 둘 또는 세 구역으로 분할한다. 동..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8 (교재 공개)카테고리 없음 2020. 9. 24. 23:15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8 71. 연속되는 쇼트에서 동일 구역에다 움직임을 일치 시키는 기법은 화면 횡단 이동을 잡은 팬과 고정 쇼트를 연결 시켜주는 구실을 한다. 72. 이동 선이나 관심 선을 반대 방향으로 옮기는 방법 : 인물의 수평 방향 움직임을 사용, 피사체의 수평 이동과 팬 촬영을 수반한 카메라와 결합하는 방법, 화면 속 인물의 수직 이동(밑으로 fr.o→역에서 fr.in)을 꾀한다. 차를 타거나 걷는 두 사람을 외부 리버스(한 쌍)로 촬영할 때, 움직이는 인물, 횡단하는 차량 사이에 정적인 피사체를 삽입, 동일 방향 절반에 움직임이 계속되는 두 개의 외부 리버스, 인서트 사용 73. 방향의 변화는 반드시 화면 내에 보여줘라. 인물이 이동 방향을..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7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22. 01:01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7 61. 무대 습관에 따라 중심 인물은 뒤쪽(앞 모습, 개방적), 부수적인 인물은 앞쪽(뒷모습, 폐쇄적)에 위치하여 중심 인물이 부수적인 인물 앞쪽으로 지나쳐야 하고 뒤쪽으로 지나칠 경우엔 C.S 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62. 배우의 몸이 완전히 일직선인 경우는 거의 없다. 한쪽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서있는 것이 심리학적으로 더욱 안정된 자세이다. 사람의 팔다리나 앉고 설 때는 둥글게 원을 그린다. 그 점을 이용 직각 앵글 배치 1 쇼트를 분할하면 동적이다.(또는 리버스도 가능),(의자에 앉거나 설 때 이용) 63.움직임이 갖는 시각적 변화(이미지 라인 넘을 때) : 커트 어웨이 삽입, 피사체의 중간 방향 움직임 이용, 연기자..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6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18. 22:43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6 51. PAN : 시간 문제점, 부자연스럽다.(사람의 눈은 건너뛰는 경향이 있다.), 피사체를 프레임 안에 유지(일정한 화면 구도) 시키기 위해, 연대감(친밀감)과 심리적 상호 관계를 강조, 시퀀스가 늘어나지 않도록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 중요한 행동이나 대상들을 촬영, 흥미 있는 지점으로 이동할 땐 부차적인 피사체를 따라 시작하고 그것이 빠져버린 다음 새로운 관심의 중앙으로 정지한다. 단순하고 편한 진로를 이용하되 프레임 속에서 움직이는 연기자나 차량은 촬영 범위 내에서 모든 복잡한 움직임을 하라. 또 시작과 끝에서 시각적 구도를 완벽하게 유지시켜 화면상의 균형을 재설정한다. 반대 방향으로 팬하는 두 개의 쇼트(동일 인물)는..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5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14. 23:24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5 41. 확대할 경우엔 이동을 써라 : 1人→다수, 디테일→웅대함(장관), 관심을 집중 시키고 강조 시킨다. 42. 배우를 고정(움직임)하고 배경을 변하는 것처럼 이동하면 관객에게 주관적인 체험을 가능케 한다. (중심에 위치, F.O, F.I, 화전그네 360도) 이동은 정당성을 지녀야 한다. 결과(명확하고 동적이며 정확한 이야기 전달에 기여)를 염두에 두고 판단하라. 피사체가 움직이면 관객의 주의가 카메라의 움직임에서 피사체로 향하게 되므로 먼저 피사체가 움직이고 흥미를 끌만하고 잘 짜여진 구도에서 이동, 피사체가 정지하기 전에 관객이 안도감을 느낄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세밀히 강조의 효과를 보도록 피사체에 충분히 가깝게 접근하..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4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9. 23:50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4 31. 깊이감은 사선(기울기, 경사면)을 이용하라. 왜곡되어 보일 때 깊이감은 증대한다. 색채의 기울기(먼데일수록 흐리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빛은 화면 공간에 주어진 기점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구형적인 기울기를 낳는다. 그림자는 사물의 주변에 공간을 만들어준다.(지형지물 이용) 32. 감독 임무의 본질은 과정을 재현 시키는 것이다. 테스트는 최소화하고, 그날 촬영할 장면의 분위기에 맞는 옷을 입고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예술인으로서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을 더 의식하는 법이다. 감독들은 단순히 물리적 세계를 복사하려 들지 않는다. 그들은 조직되고 서술 구조를 사용해 물리적 현실 세계를 해석하고 형상화한다. 또한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6. 20:56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3 21. 표현주의 감독들은 대상물을 가장 명확하게 표현하는 영상보다는 대상물의 본질을 가장 잘 포착하는 영상에 관심이 있다. 22. 정수는 내용 그 자체가 아니라 그 내용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 가에 있다. 이야기를 조작하는 것은 혼란스러운 현실 세계의 표면 아래에 숨겨진 진실성과 아름다움을 드러내기 위한 정당한 방법이다. 내용은 영상 자체가 담는 소재가 아니라 영화의 구조적 형식이다. 23. 영화는 이 아닌 에 의해 판단되어야 마땅하고 선택된 주제가 아닌 방식상의 처리다. 24. 예술성이란 미리 결정된 형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발견해 나가는 과정 가운데에 있는 것이다. 25. 한 장소에 딱 맞는 가장 적합한 쇼트(말)은..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2(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4. 02:11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교재 공개)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2 11. 문제는 진실과 허위를 발견하는 것보다 어떻게 인간들이 점차로 모순을 극복해 갔는가를 이해하는데 있다. 12. 위대한 예술가들은 양식에 대한 불신을 품고 있었으며 결정적인 순간에는 양식을 고수하기보다는 사물의 논리를 고수하였다. 13. 어떻게 표현되었는가가 아니라 어떠한 의도로 표현되었는가 이다. 14. 관객은 작가가 의미하는 것에 따라서가 아니라 스크린에 펼쳐진 것에 대해서만 반응한다. 15. 작가는 향기를 관찰하는 대신 향기에 반응하면 안된다. 16. 관객에게 말을 하기 보다는 보여주도록 하라. 17. 일반적으로 연극은 인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영화는 상황에 대한 인간의 관계를 다루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