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다임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32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9. 16. 22:36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32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H4ITK5DpXJU 441-2 만일 개개인의 의식이 각기 고유한 파동패턴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을 우주의 홀로그램 속에서 특정 이미지를 불러내는 특정 주파수의 레이저로 볼 수 있다. 어떤 비범한 의식상태를 통해서 감추어진 질서를 직접 경험하고 거기에 개입할 수 있으리라고 상상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그 모태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현상계에 나타나는 현상을 조작 내지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현 현실로부터 전혀 다른 현실로 옮겨갈 수 있는 의식의 능력은 다음 사실로 시사한다. 즉 보통 상식의 법칙은 우주의 컴퓨터 안에서는 단지 한 가지 프로그램에 불과하지만 그 프로그램은 너무나 자주 반..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31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9. 11. 22:41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31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1n8IPiM3DSg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31 / 병을 고치는 방법?! / 허준과 히포크라테스가 한 말 / kore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31 질병은 다른 곳에서 생겨나서 침입해 들어오는 병이 아니라 불가분의 전체로서 정확히 설명될 수 있는 삶의 과정의 일부로 youtu.be 441-1. 질병은 다른 곳에서 생겨나서 침입해 들어오는 병이 아니라 불가분의 전체로서 정확히 설명될 수 있는 삶의 과정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우리의 관심이 분리와 고립으로부터 떠나 관계의 법칙과 일체성으로 돌려지면 건강은 따라온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30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9. 7. 01:22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30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bB-Bsau3aqg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30 / 홀로그램 우주?! / 진짜와 가짜의 구분! / korean study / estud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30 뇌세포는 원래의 패턴이 아니라 푸리에 방정식(18세기 프. 수학자 Jean B.J. Fourier)-(아무리 복잡한 패턴이라도 그것을 단순한 youtu.be 441. 뇌세포는 원래의 패턴이 아니라 푸리에 방정식(18세기 프. 수학자 Jean B.J. Fourier)-(아무리 복잡한 패턴이라도 그것을 단순한 파동의 언어로 변환 시키는 수학적 방법. 그리고 그는 이 파동형..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29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9. 3. 00:35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29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OJ3yqvnZBb4 440-2. 7;이행의 숫자이다. 4를 뒤집어 놓은 것과 비슷한 이 숫자에도 교차점이 있다. 이는 하나의 순환이 마감되었음을 뜻한다. 즉 물질 세계의 순환이 끝난 것이다. 따라서 이제 다음 순환으로 넘어가야 한다. 8;무한이다. 이 숫자의 곡선을 따라가면 영원히 끝이 나오지 않는다. 9;태아의 형상이며 6을 뒤집어 놓은 것이다. 9는 현실 세계로 돌아갈 채비를 하는 단계이다. 10;고차원의 0이다. 10과 함께 숫자의 순환이 더 높은 차원에서 다시 시작된다. 우리가 어떤 숫자 하나를 쓰는 것은, 그 숫자에 담긴 뜻을 전달하는 것이기도 한다. 태초부터 남자들은 정당화..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28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8. 30. 23:50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28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AcbOxWiPf-U 440-1. 3;동물의 단계이다. 이 숫자에는 곧은 줄이 없다. 이는 동물이 땅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과 상통한다. 이 숫자에는 두 개의 고리가 있다. 이는 동물이 위쪽과 아래쪽을 사랑하고 있음을 뜻한다. 동물은 하늘의 노예도 땅의 노예도 아니며, 자기의 감정과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 동물은 사랑하기도 하고 사랑하지 않기도 한다. 이기주의는 동물의 주요한 특성이다. 동물은 포식자가 되기도 하고 먹이가 되기도 한다. 동물은 언제나 두려움을 지닌 채 살아간다. 자기의 직접적인 이익에 따라 행동하지 않으면, 동물은 죽음을 맞게 된다. 4;인간의 단계이..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27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8. 26. 23:02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27 강의 영상 링크 : https://youtu.be/X-6PGshgLKQ 440. 숫자의 힘 숫자는 단지 그 형태만으로도 생명이 진화해 온 역사를 보여 준다. 숫자들에 나타나는 둥근 형태는 사랑과 해방을 의미하고, 곧은 줄은 집착과 구속을 뜻하며, 엇갈린 형태는 시험과 이행을 가리킨다. 0;공백의 단계이다. 이 숫자는 동그라미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생명을 품은 태초의 알이다. 1;광물의 단계이다. 이 숫자는 세로줄 하나로 되어 있다. 이것은 부동성과 시작을 뜻한다. 이 단계에서 사물은 그냥 존재한다. 생각하지 않고 움직이지 않고 늘 같은 자리에 머물러 있다. 그것은 의식의 첫 단계다. 광물은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하지 않는다. 2;식..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25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8. 21. 02:50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25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GPVkqgDv_rM 439. 제물은 성스럽지만 폭력이요. 제의는 사회 전체의 폭력을 개인의 것으로 축소시켜 더 큰 폭력을 막기위한 문화적 장치이다. 신화는 도처에 있는 상호폭력을 단 한 사람의 범죄로 대체시킨다. 결혼이라는 제도 역시 상호폭력을 축소시키는 문화적 장치이다. 성욕은 폭력을 숨기고 있는 마지막 가면이자 동시에 폭력이 드러나는 출발점이다. 있는 그대로의 적나라한 성욕은 폭력 그 자체이고 모든 사회적 차이를 소멸시킨다. 합법적인 모든 성은 희생제의적이다. 우리가 증오보다 사랑을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 폭력 본능을 부드럽고 환상적으로 배출해 내기 위해서이다. 인간은 대상이 허상..
-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사상과 철학 23 (교재 공개)패러다임/철학 2021. 8. 14. 12:41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사상과 철학 23 영상 강의 링크 : https://youtu.be/6zBc_tNznPo 438. 서구는 사상, 가치관, 종교의 우위에 의해서가 아니라, 조직화 된 폭력의 우위로 세계를 정복하였다. 앞으로의 세계에서 무역의 양태는 문화가 결정한다. 우리가 실체 속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이 세계는 사실상 시뮬라크르 simulacre 이다. 미디어를 통해 소식을 접하고, 세상을 알게되고, 그것이 실체와 같다고 믿고 있을 뿐이다.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모든 것들은 시뮬라크르(복제된 현실)이다. 사실 우리는 시뮬라크르의 세계만을 접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구조화 된 기호들만 접하는 셈이다. -왜곡이 돼도 모른다. 이 세상은 정답을 파괴하는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