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영상, 미학편 1 (교재 공개)패러다임/예술 2020. 9. 1. 22:48반응형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교재 공개)
- 생각하기 이해하기 실천하기 -
영상, 미학편 1
1. 카메라보다 인물의 움직임을 이용 앵글에 변화(관객의 시선유도)를 준다.
2. 항상 왜? 하며 의혹을 품어보고, 의미를 생각하며 역으로도 생각해본다.
3. 살아있는 생활의 디테일을 묘사하고, 소리(제3의 음)을 이용하라
4. 무엇을 말하느냐가 아니라 그것을 언제 어떻게 말하느냐(무엇을 보느냐)가 관건이다.
5. 허구의 진실성이란 얼마나 정확하게 사실을 전달하느냐가 아니라 그것이 얼마나 훌륭하게 진실을 말하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6. 첫 번째 관심은 장면이 아니라, 등장인물이어야 한다.
7. 분위기대신 이해와 분석따위를 강요하면 관객은 곧 염증을 느낀다. 관객은 분석하러 온 것이 아니라 그들의 심장으로 느끼러 온 것이다. 화면 속의 인물은 현실성을 부여해 느끼지만 관객은 눈으로만 본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위치감각(미장센)을 갖도록 해 준다.
8. 중요한 것은 대화에 함축된 내용(무엇이 대화를 하도록 만드느냐)이지 대화 자체가 아니다.
9. 양식화된 표현은 그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그들이 되고자 하는 것을 그리려는 시도이다.
10. 훌륭한 영화 속에는 항상 기억에 남는 대사나 장면이 있다.
반응형'패러다임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5 (교재 공개) (0) 2020.09.14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4 (교재 공개) (0) 2020.09.09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3(교재 공개) (0) 2020.09.06 [도영의 한국어 공부방] 영상, 미학편 2(교재 공개) (0) 2020.09.04 예술가의 꿈, 라디오헤드펍에 가다 (2) 2020.02.18